구 분 | 종 명 |
---|---|
포유류(1) | 뉴트리아 |
양서·파충류(2) | 황소개구리, 붉은귀거북속 전종 |
어류(2) | 파랑볼우럭(블루길), 큰입배스 |
곤충류(1) | 꽃매미 |
식물(12) |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서양등골나물, 털물참새피, 물참새피, 도깨비가지, 애기수영, 가시박, 서양금혼초, 미국쑥부쟁이, 양미역취, 가시상추 |
출처 : 환경부 홈페이지 http://www.me.go.kr
1.
황소개구리
저수지, 논, 수로 등 전국 분포
특징
개구리에 비해 몸길이가 두세배정도 크고(평균 13cm, 약250g) 울음소리가 소가 우는 소리와 닮았고 국내 참개구리와 생김새가 유사하지만 눈과 고막이 크고 몸표면에 흑갈색 반점이 퍼져있다
제거
산란기인 4~6월 낚시나 그물로, 올챙이는 뜰채를 이용하여 제거
2.
큰입배스
주요 대형 하천, 저수지 등에 널리 분포
특징
육식어종으로 몸이 길고 약간 편평하며 전체적으로 가운데는 넓고 양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방추형이다. 평균 수명은 15년정도이고 곤충에서 어류까지 다양한 수생동물을 닥치는대로 잡아먹음. 현재 큰입배스를 잡아먹는 생물은 거의 없다.
제거
산란기인 5~7월 낚시로 잡거나 인공산란장을 이용한 알제거, 작살이나 가물치 등 육식성 토종어류를 이용하여 퇴치
3.
파랑볼우럭
댐, 호수, 저수지, 하천 등에 널리 분포
특징
해양어류인 돔과 유사한 체형으로 몸의 높이가 높고 길이가 짧고 몸의 옆면에 5~9개의 세로띠가 있고 몸의 크기는 15~25cm이다. 입이 작아 작은 새우, 달팽이, 작은 갑각류와 곤충, 작은 어류를 주먹이로 하며 우리 고유어종 수를 감소시킴
제거
산란기인 5~7월 그물이나 투망을 이용하여 잡음
4.
붉은귀거북속 전종
호수, 저수지등 널리 분포
특징
잡식성으로 단단한 등껍질은 진초록이고 배에 노란줄무늬가 있다. 수컷은 20cm, 암컷은 29cm가지 자라며 50~75년까지 사는 개체도 있다. 국내에 천적이 거의 없으며 남생이, 자라 등과 서식처 경쟁을 하기때문에 수중생태계의 먹이사슬을 교란시키고 있다.
제거
산란기인 4~6월 주활동기인 6~8월 그물이나 투망, 통발로 잡음
5.
뉴트리아
경남, 낙동강유역 주로 분포
특징
포유동물로서 몸길이는 43~63cm이고 수컷이 6.7kg, 암컷이 6.3kg정도이다. 쥐, 수달과 생김새가 비슷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우포늪, 낙동강 하류부에서 확산되면서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제거
올무, 포획틀을 이용하거나 울타리를 치거나 굴입를 메워 포획
6.
꽃매미
충남, 경북 등 포도재배지, 서울 등 중부지방 분포
특징
매미와 체형이 비슷하고 겉날개는 전체적으로 연한 황갈색을 띤다. 속날개의 위쪽은 주홍색이고 검정에 반점이 여러개 박혀있다. 속날개 아래쪽은 검정색에 가깝다. 주로 과수 수액을 흡즙하여 생장을 늦어지게 하거나 그을음병을 유발하여 주변식물을 고사시킨다.
제거
알덩이를 제거하거나 유충은 제한적으로 살충제를 살포하야 제거함
7.
돼지풀
전국적 분포
특징
한해살이풀로 국화과에 속하며 줄기는 30~180cm까지 곧게 자란다. 줄기와 가지에는 가는 털이 많이 나 있다. 8~9월에 긴 꽃대에 꽃자루가 있는 여러개의 꽃이 피며 꽃가루에 의한 알레르기성 비염과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킨다.
제거
꽃가루가 날리기 전인 6~7월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뿌리째 제거함.
8.
단풍잎돼지풀
경기·강원일원 집중 분포, 남부로 확산중
특징
한해살이풀로 국화과에 속하며 줄기는 3m 혹은 그 이상까지 곧게 자라며 가지를 치고 줄기에는 거친 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가지마다 나오고 긴 꽃대에 여러개의 꽃이 핀다. 군락을 이루어 자라며 꽃가루에 의한 알레르기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거
식물체가 어린 5월부터 보름 간격으로 제거하며, 꽃가루가 날리기 전인 6~7월 손이나 도구를 이용하여 뿌리째 제거하고 땅속에 씨가 들어있으므로 몇년간 계속해서 뽑아줌.
9.
서양등골나물
서울, 경기 일대 집중분포
특징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며 반음지를 선호한다. 130cm까지 자라며 숲의 큰 키나무 아래에서 8~10월 하얀 꽃을 피우고 군락을 이루며 확산한다.
제거
5~6월 손으로 뿌리째 제거
11.
물참새피
제주도를 포함한 남부 일부
특징
벼과에 속하는 여러해살풀이며 털물참새피와 모양과 생태적 습성이 아주 유사하다.
제거
꽃이 피기 시작하는 6월전에 뿌리부터 줄기까지 모두 걷어냄.
12.
도깨비가지
제주도, 전라도, 경남에 분포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1m까지도 자라며 줄기는 여러번 가지를 친다. 줄기와 잎의 표면에 날카롭고 단단한 가시가 있다. 5~9월에 흰색이나 연보라색 꽃이 줄기 끝에 모여난다. 번식력이 강하고 가시가 있아 가축이 먹지 않고 경작지에 침이하면 모여 자라 방제하기 아주 어렵다.
제거
열매를 맺기 전에 없애는 것이 좋음.
13.
가시박
한강, 금강, 낙동강 등 주요 하천변 폭넓게 분포
특징
박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식물이다. 줄기는 나무를 타고 올라가 잎과 가지를 뒤덮거나 식생표면을 덮는다. 멀리서 볼때 가시박의 잎은 연하고 밝은 녹색을 띠고 칡은 짙은 녹색으로 보인다.
제거
어린 가시박을 식별할 수 있는 5~6월부터 뽑아내거나 줄기를 잘라주고 제거한 지역은 한달정도 간격으로 다시 제거함.
14.
애기수영
대규모 목장 중심으로 전국적 분포
특징
마디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암수딴그루로 키는 20~50cm이다. 잎은 화살촉 모양으로 보이며 꽃은 5~6월에 피고 홍록색꽃이 필때는 홍색들판으로 보여 식별이 쉽다.
제거
여러번 계속해서 뽑아주고 새로 나온 싹은 잘라줌.
15.
서양금혼초
제주도 중심 남부해안 등 분포
특징
국화과 여러해살이 풀로 잎은 모두 뿌리에서 나는데 30~80cm까지 자란다. 잎 양면에 가늘고 억센털이 빽빽하게 난다. 5월 전후에 민들레와 같이 노란 꽃이 가지끝에서 피어난다.
제거
호미로 뿌리째 뽑거나 낫 등을 이용하여 꽃대와 잎을 잘라줌.
16.
미국쑥부쟁이
경기 북부와 서울 도로변, 하천변 등
특징
국화과 여러해살이 풀로 줄기는 30~100cm까지 자라는데 가지끝에서 많은 꽃자루가 나와 9~10월에 무리지어 하얗게 피어난다.
제거
낫 등을 이용하여 꽃대와 잎을 잘라줌.
17.
양미역취
남부지방에 주로 분포
특징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줄기는 100~250cm까지 자라며 거친털이 있고 줄기위쪽에 많은 가지를 낸다. 9~10월에 가지마다 작고 노란 꽃이 무리지어 피어난다. 지상부는 겨울에 죽고 뿌리로 월동한다.
제거
5월부터 개화 전까지 줄기를 잘라주거나 호미로 뿌리째 뽑아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