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트맵
:
콘텐츠바로가기
:
처음으로
:
로그인
:
회원가입
:
즐겨찾기
강원대학교 야생동물구조센터
강원도 야생동물(토종동물)
포유류
포유류
구 분
종 명
포유류
산양
,
하늘다람쥐
,
수달
,
붉은박쥐
,
반달가슴곰
,
사향노루
1.
산양
학명
Nemorhaedus caudatus
영명
Amur Goral
분류
우제목 소과
지정
천연기념물 제217호
생김새
염소와 비슷한 형태나 몸길이 129cm로 더 큰 편이다
암수 모두 뿔이 있고 뒤로 굽는다
주둥이에서 후두부에 이르는 부분은 흑색을 띠고 턱 밑과 목에는 흰색의 큰 반점이 있다
서식지
설악산, 대관령, 태백산과 같은 기암절벽으로 둘러싸인 산악산림지대에 산다
생태적 성질이 국소적이어서 한 지역에서 영구히 살고 멀리 이동하지 않는다
동굴에 2~5마리씩 군집생활
먹이
풀, 산열매, 도토리, 바위 이끼, 진달래와 철쭉의 잎, 잎쑥 등
번식
9~10월 교미, 임신기간은 7개월, 4월~6월 사이에 보금자리를 만들어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분포
중국 동북지방, 아무르, 우수리, 흑룡강 유역, 강원도 산악지대
2.
하늘다람쥐
학명
Pteromys volans
영명
Eurasian Flyddng Squirrel
분류
설치목 다람쥐과
지정
천연기념물 제328호
생김새
앞다리와 뒷다리 무릎 사이에 비막이 있고 꼬리는 짧고 편평한, 공중을 활공하는 다람쥐 종류이다
귓바퀴는 작고 긴 털이 없으며 눈이 매우 크다
몸길이 13~16cm
서식지
참나무와 잣나무의 혼성림 또는 잣나무 숲과 같은 침엽수림에서 단독 또는 2마리씩 빈 나무구멍을 보금자리로 이용하여 서식한다
야생성이며 먼 거리를 활공으로 이동하는데 한번에 8m정도 날 수 있다
먹이
견과, 과실, 곤충 등을 먹는다
번식
4~10월에 3~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갓 낳은 새끼들은 당분간 어미의 가슴에 붙어 산다
분포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지만 눈에 쉽게 띄지 않아 정확한 실태조사는 수행되지 못했다
3.
수달
학명
Lutra lutra
영명
Eurasian otter
분류
식육목 족제비과
지정
천연기념물 제330호
생김새
다리가 짧고 꼬리가 굵고 길다
몸은 수중생활을 하기에 알맞게 유선형으로 진화하고 발가락 사이에는 물갈퀴가 있다
몸길이 63~82cm, 체중 5.8~10kg
서식지
수계를 따르는 직선형 서식지를 갖는다
개천, 하천, 호숫가에서 구멍을 파고 산다
하천의 직강화와 해안의 콘크리트 공사, 수질오염이 서식지 파괴의 주요인이다
먹이
잉어, 붕어, 게, 새우, 개구리, 물새류
번식
1~2월 교미, 임신기간은 63~70일이며 2~4마리의 새끼 출산
번식시기가 다양하다
분포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에 널리 분포, 국내 전역에 소수 분포
일본에서는 절종하였다
4.
붉은박쥐
학명
Myotis formosus
영명
Korean Orange Whiskered Bat
분류
박쥐목 애기박쥐과
지정
천연기념물 제452호(2005.3.17)
생김새
황금박쥐라는 애칭, 몸의 털과 귓바퀴, 날개의 골격부분은 오렌지색이며 귓바퀴와 날개막에 검은 반점이 있다. 뒷발은 9~14mm로 작고 검은색이며 날개는 바깥쪽 발가락 끝 부분에 붙어 있다.
서식지
여름철에는 주로 대나무 밭이나 삼림, 고목의 둥치 등 숲이 우거진 곳에서 낮에 휴식을 취한다. 겨울잠은 11~3월까지 습도가 높은 따뜻한 동굴의 안쪽에서 겨울잠을 잔다.
먹이
주로 곤충을 먹이로 한다.
번식
암수의 성비가 1:10~1:40 정도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 보통 봄과 여름에 출산하며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분포
아프가니스탄 동부로부터 북인도에서 한국, 일본, 대만, 필리핀 등에 분포하며 최근 전남 함평군과 무안군에서 집단 서식지가 발견됨.
5.
반달가슴곰
학명
Ursus thibetanus
영명
Asiatic Black Bear
분류
식육목 곰과
지정
천연기념물 제329호
생김새
몸 전체에 광택이 나는 검은 털이 나 있고 앞가슴에 반달모양의 크고 흰 무늬가 있다
발에는 5개의 크고 강한 검정색 발톱이 구부러져 있다
몸길이 120~180cm, 체중은 수컷 110~150kg, 암컷 65~90kg 정도이다
서식지
1,500m 이상 높은산, 도토리가 많은 활엽수, 신갈나무숲
지리산, 설악산, 오대산, 건봉산, 향로봉 등지에 잔존 추정
먹이
주로 식물질로 도토리를 특히 좋아하며 껍질째 삼킨다
벌레, 유충, 가재, 물고기, 새, 알, 벌꿀을 특히 좋아함
번식
7~9월에 교미하여 2~4월 동면중에 1~3마리의 새끼 출산
분포
동부시베리아, 중국, 동남아, 히말라야, 일본, 우리나라에 분포
기타
후각과 청각이 매우 발달
발톱이 발달하여 나무에 잘 오르며 바위절벽도 잘 기어오른다
6.
사향노루
학명
Moschus moschiferus
영명
Musk Deer
분류
우제목 사슴과
지정
천연기념물 제216호
생김새
몸길이 75~95cm, 체중 8.5~11kg, 외부형태는 고라니와 비슷하며 수컷에서 50mm 정도의 송곳니가 입 밖으로 길게 나와있다
암수 모두 뿔은 없고 흰색 줄이 두 눈으로부터 목의 좌우, 가슴 앞다리까지 내려간다
수컷에는 배꼽 바로 뒤에 사향선이 있고 그 주위에 긴 털이 나있다
부제(며느리발굽)가 발달하여 나뭇가지를 붙들고 서 있을 수 있다
서식지
바위가 많은 고산산림지대, 단독 또는 1쌍으로 생활하며 야행성이다
먹이
지의류, 어린 싹과 잎, 열매
번식
11월~1월 사이에 교미
이 시기에는 수컷에 사향선이 발달하여 향기가 난다
임신기간은 5~6개월, 5~6월에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분포
만주, 동부 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지역과 우리나라 전국의 산지에 분포
사향채취 목적으로 밀렵이 성행하여 최근에는 절종의 위기에 처한 종이다